전통적인 SUV의 성격을 그대로 갖춘, 브랜드 최초의 100% 순수 전기 SUV기존 SUV 대비 체급을 뛰어넘는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2열 폴딩 시 최대 1,575L로 늘어나는 적재 공간
새로운 지능형 라이팅 시스템(IQ. 라이트 LED 매트릭스 헤드라이트, 3D LED 테일 라이트 클러스터) 및 혁신적인 드라이브 보조시스템(IQ. 드라이브) 탑재
새로운 전자 플랫폼 상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해 차량 구매 이후 다운로드를 통한 지속적 업데이트 가능
77kWh 용량의 1회 충전 시 최대 520km (WLTP 기준)주행 가능한 배터리 탑재, 8년 또는 16만 km 주행거리 이후에도 최초 용량의 70% 유지, 강력한 브레이크 에너지 회생 기능으로 장거리 운행에 이용
폭스바겐은 ID.3에 이은 두 번째 순수 전기차이자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SUV인 ID.4를 공식 발표하고, 글로벌 전기차 공세를 개시했다.
폭스바겐 브랜드는 그룹의 “트랜스폼 2025+” 전략의 일환으로 2024년까지 전기차 부문에 총 110억 유로를 투자할 예정이며, 폭스바겐 그룹에서는 2029년까지 최대 75종의 순수 전기차를 출시해 해당 기간까지 2,600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는, 전기차 대공세를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 중 ID.4는 전세계 자동차 시장 중 가장 큰 시장인 컴팩트 SUV 시장을 정 조준한 모델로, 유럽은 물론 미국, 중국에서 생산되어 전세계 주요시장에 판매되는 글로벌 전략 모델이다.
유려하면서도 강렬한 바디 라인
전장 4.58m에 달하는 ID.4는 강렬하지만 간결하면서도 유려한 라인으로 도로 위에서 남다른 존재감을 드러낸다. 전체적으로 전통적인 SUV의 남성적이고 탄탄한 라인은 잃지 않으면서도 0.28의 낮은 공기 저항계수로 뛰어난 에어로 다이내믹스를 실현한다.
컴팩트한 ID.3와 마찬가지로 ID.4의 외관 디자인 역시 모빌리티의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ID.4는 전기 구동계로 움직여 전통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으며, 최신 헤드라이트와 그 사이를 잇는 시그니처 라이트가 현대적인 느낌의 전면부 디자인을 완성한다.
ID.4의 전체적인 바디는 매끄러우면서도 탄탄한 느낌을 자아내며, 큰 휠이 장착되어 강력하고 스포티한 느낌을 더욱 살린다. 파워풀한 숄더 라인은 차체를 더욱 탄력 있게 만들며, 역동적인 루프 아치가 차량에 전체 걸쳐 펼쳐져 있어 한 층 더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라운지 스타일의 여유 있는 공간
ID.4의 넓게 열리는 도어는 운전자 및 승객들이 편하게 탑승할 수 있으며 높은 시트 포지션에서 보다 편안하게 착석 및 이동이 가능하다. 도어 표면 아래로 자리잡은 도어 손잡이는 전동식으로 작동된다.
짧은 오버행과 2.77m의 긴 휠베이스 덕분에 상급 SUV 만큼의 넓고 편안한 실내 공간을 선사할 뿐 아니라 폭스바겐의 다른 ID.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실내를 “오픈 스페이스”처럼 만들어준다.
전체 루프 길이만큼 광활하게 뻗어 있는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는 차량 가득 빛이 들어 올 수 있게 해준다. (ID.4 퍼스트 맥스 기본 적용). 유연하게 배치된 센터 콘솔은 대시 보드와 분리되어 깔끔한 인테리어를 만들어 냈다. 측면 충돌 시 앞 좌석 사이의 중앙 에어백이 작동해 안전성을 더욱 강화했다.
대형 트렁크 공간
트렁크 용량은 543L로, 뒷좌석 시트를 접을 시 1,575L까지 늘어난다(루프 높이까지 적재 시). ID.4 퍼스트 맥스에는 간단한 발 동작으로 트렁크를 열 수 있는 전동식 “이지 오픈&클로즈” 시스템이 탑재됐다. 여기에 짐을 고정시킬 수 있는 러기지 네트, 네트 칸막이, 조절이 가능한 러기지 플로어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짐을 실을 수 있다. ID.4는 옵션 사항인 견인 브라켓을 이용 시 최대 1,000kg (12%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작동 시)의 트레일러를 견인 할 수 있다.
혁신적인 지능형 라이팅 시스템, IQ 라이트(IQ. Light)
ID.4에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최첨단 라이트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인터랙티브 IQ. 라이트 LED 매트릭스 헤드라이트(ID.4퍼스트 맥스 기본 적용)는 차량이 잠금 또는 해제 될 때 렌즈 모듈을 회전시키는 웰컴 라이트로 운전자를 반긴다. 또한, 지능적으로 컨트롤 되는 메인빔은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을 눈부시게 하지 않고 도로를 밝게 비춰 준다.
3D LED 테일 라이트 클러스터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다이내믹 턴 시그널을 포함한다(ID.4 퍼스트 맥스 기본 적용). 3D LED에 의해 생성되는 테일 램프 클러스터에서 발산되는 빛은 균일하고 3차원적으로 보인다. X자형의 브레이크 램프(브레이크등)은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내릴 때 역동적인 패턴을 발산하며, 개인의 기호에 따라 두 가지 옵션 중 선택 할 수 있다.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
ID.4에는 두 가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이 기기 조작을 보완한다. 윈드 스크린 아래에 위치한 라이트 스트립 ID.라이트(ID. Light)는 직관적인 라이트 효과로 선회 또는 제동 등 다양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지원한다.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방향 화살표 및 기타 정보들을 차량 전면 유리창에 투사해 이를 차량의 실제 주변 환경과 조합해 보여준다.
커넥티비티
다목적 내비게이션 시스템
ID.4 퍼스트와 ID.4 퍼스트 맥스는 디스커버 프로(Discover Pro) 내비게이션 시스템(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장착된다. 온라인 음성 제어 시스템은 클라우드에 통합된 지식 및 데이터로 인해 더욱 자연스러운 음성 컨트롤 기능을 제공한다.
앱 커넥트(App Connect)로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 카플레이, 미러링크 등 국가 환경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한 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연결하는 컴포트 모바일폰 인터페이스도 적용됐다(ID.4 퍼스트 맥스 기본 적용).
새로운 전자 플랫폼
ID.4의 지능형 전자 시스템에는 완전히 새로운 아키텍처 개념이 적용됐다. 하드웨어인 두 대의 고성능 중앙 컴퓨터가 위치하고, 소프트웨어는 로컬 서버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새로운 데이터 패키지 통합이 쉽게 이뤄진다. 반면 구동 및 브레이크 등 기본 기능들은 별도의 컨트롤 유닛으로 통제되어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작동이 이루어진다.
ID.4 고객은 시스템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새로운 전자 플랫폼의 이점을 경험할 수 있다. 고객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시 데이터는 차량으로 전송되고 주행 종료 시에 설치되어 다음 번에 차량을 이용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배터리 및 충전 옵션
ID.4의 두 퍼스트 에디션 모델은 모두 493kg의 77 kWh 배터리를 탑재, 최대 520km(WLTP 기준)에 달하는 주행거리를 자랑한다.
알루미늄 섹션으로 구성되며 튼튼한 프레임으로 보호되는 배터리 하우징에는 12개의 배터리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이 배터리 모듈들은 각각 24개의 파우치 형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냉각수 통로가 통합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배터리 내부의 열 조절을 돕는다. 폭스바겐은 이 배터리가 8년 또는 16만 km 주행거리가 지난 후에도 최초 용량의 최소 70% 유지를 보장한다.
뛰어난 브레이크 에너지 회생기능
ID.4 퍼스트 에디션의 장거리 주행을 위한 한 가지 핵심 요소는 바로 강력한 브레이크 에너지 회생 기능이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놓았을 때 기어 모드에 따라 차량이 에너지를 회수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D(주행) 위치에서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차량이 주행하며 전기 모터가 자유롭게 회전한다. B(브레이크) 위치에서 전기 모터가 제너레이터 역할을 해 배터리로 전원을 다시 공급한다. 일상적인 많은 상황에서 유압 휠 브레이크는 보다 강력한 제동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되며, 완만한 제동은 전기 모터만으로 수행된다.
직류(DC) 급속 충전 가능
77 kWh 배터리를 장착한 ID.4는 아이오니티(IONITY)*[각주: 유럽의 전기차 초고속 충전 인프라 구축 전문 업체]가 제공하는 것과 같은 급속(DC)충전소에서 최대 125kW의 충전 전력으로 약 30분 만에 충전이 가능하다(WLTP 기준). 충전 후에는 320km를 주행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서는 모드 3 케이블을 사용하여 교류(AC)로 충전할 수 있으며, 유럽 15만개 공공충전소로의 접근 및 탐색이 가능한 ‘We Charge’ 시스템의 충전 서비스를 단일 카드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출처:VW>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W ‘My BMW’ 앱 출시 (0) | 2020.10.04 |
---|---|
기아자동차 온디맨드 충전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0) | 2020.10.03 |
기아자동차 전기차 사업체제로 전환 박차! (0) | 2020.10.03 |
기아자동차, 상품성 강화한 ‘2021 스포티지’ 출시 (0) | 2020.10.03 |
현대차 디지털키 기반 신규 서비스 런칭! (0) | 2020.10.03 |
댓글